본문 바로가기

자본 높이기

(43)
차익거래, 비차익거래 그리고 프로그램 매매 차익거래 차익거래는 선물과 현물의 차이를 이용한 매매 방법이다. 선물은 만기일이 존재하는데 만기일에 도달한 선물은 현물 가격과 같아진다. 바로 이 선물과 현물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우선 선물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 선물 가격과 이론 선물 가격이 존재한다. 시장 선물 가격과 이론 선물 가격의 차이를 비교한 뒤 비싼 것은 팔고 저렴한 것을 사는 것을 차익거래라고 한다. 차익거래는 둘의 차이만큼 먹는 것이라서 무위험 거래라고도 한다. 차익거래를 진행하려면 자금과 시스템이 필요하기에 주로 기관 투자자가 사용한다. 1. 매수 차익거래 시장 선물 가격이 이론 선물 가격보다 높은 경우에 선물이 고평가되었다고 본다. 선물이 고평가 되어 있으니 코스피 200 지수 선물을 매도하고 코스피 200 현물을 매수하는 것..
차익거래, 비차익거래 그리고 프로그램 매매 차익거래 차익거래는 선물과 현물의 차이를 이용한 매매 방법이다. 선물은 만기일이 존재하는데 만기일에 도달한 선물은 현물 가격과 같아진다. 바로 이 선물과 현물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우선 선물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 선물 가격과 이론 선물 가격이 존재한다. 시장 선물 가격과 이론 선물 가격의 차이를 비교한 뒤 비싼 것은 팔고 저렴한 것을 사는 것을 차익거래라고 한다. 차익거래는 둘의 차이만큼 먹는 것이라서 무위험 거래라고도 한다. 차익거래를 진행하려면 자금과 시스템이 필요하기에 주로 기관 투자자가 사용한다. 1. 매수 차익거래 시장 선물 가격이 이론 선물 가격보다 높은 경우에 선물이 고평가되었다고 본다. 선물이 고평가 되어 있으니 코스피 200 지수 선물을 매도하고 코스피 200 현물을 매수하는 것..
파생상품 코스피 200 지수 선물 (+증거금과 만기일) 파생상품(Derivatives) 파생상품은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금융상품이다. 기초자산의 종류는 주식, 채권, 주가지수, 원유, 금 등 다양하다. 최근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얻고 있는 나스닥 선물, 크루드 오일 선물도 다 파생상품에 속한다. 파생상품에서 계속 언급되고 있는 선물은 무엇이고, 옵션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선물(Futures) 선물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영어로 Present 나 Gift를 생각할 수 있지만, 단어를 자세히 보면 Futures라고 되어있다. 미래를 뜻하는 Future 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우선 우리가 알고 있는 거래 방식으로는 돈과 물건이 동시에 거래되는 현물거래, 물건은 지금 거래되지만 대금은 나중에 거래하는 신용거래가 있는데 선물은 대금과 물건이 나중에 이..
유상감자와 무상감자(액면병합과 차이점은?) 유상감자 감자는 주식을 소각하여 자본금의 규모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일정한 보상을 해주면서 주주의 주식을 가져와서 감자 비율만큼 소각하는 것이다. 유상감자를 실행하는 이유는 기업이 보유한 자본금이 기업의 규모에 비해 많을 때 자본금을 적정 규모로 낮춰서 기업의 가치를 높이려고 사용된다. 합병을 하거나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도 유상감자가 등장한다. 감자차손 & 감자차익 주식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가도 있지만, 주식 겉면에 붙어있는 액면가도 있다. 자본금은 주식의 액면가액으로 정해진다. 만약에 A 기업 주식이 액면가 500원에 100만 주를 발행했고, 현재 주가는 2,000원이라고 가정한다면 A 기업의 자본금은 5억 원이 되고, 기업의 가치는 20억 원이 된다. A회사가 유상감자를 ..
애널리스트 증권사 리포트 찾아보는 방법 증권사 리포트 상장된 기업들은 1년 동안 기업을 운영하면서 4번의 보고서를 작성한다. 분기, 반기 보고서는 분기, 반기 종료 후 45일 이내, 사업보고서는 사업 연도 종료 후 90일 이내 공시를 한다. 투자자는 기업이 발표하는 보고서를 보고 분석하여 투자할 수 있지만, 애널리스트의 분석을 참고하여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국내외 시장 상황, 산업과 기업에 대해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이러한 보고서를 증권사 리포트라고 한다. 증권사 리포트 보는 곳 1 (네이버 증권) 네이버 홈 화면에서 '증권'으로 들어가면 금융이라는 화면이 나온다. 화면 상단에 있는 리서치를 클릭하면 시황, 투자, 종목,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증권사 리포트가 모여있다. 네이버의 장점은 화면 오른쪽에 가장 많이 본 리포트,..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주식 수량의 증가!) 유상증자(Capital Increase with Consideration)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많은 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 대출이나 채권 발행 등 타인의 자본을 차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식을 발행하여 자기 자본을 확보할 수 있다. 유상증자는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회사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상증자를 실행하는 이유는 신규 사업 진출, 설비 투자, 인수합병(M&A)이 있으며, 기업의 지속된 적자와 상환해야 하는 부채 등이 많아질 경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서도 실시된다. 유상증자가 이루어지려면 결국 신규 주식을 매각해야 하는데 매각하는 대상에 따라 유상증자 방식이 달라진다.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하는 주주배정, 일반인 모두에게 판매하는 일반 공모(기존 주주도 참여 가능), 특정..
우회상장과 스팩(SPAC)의 차이 기업 상장 기업이 주식 시장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기업공개 IPO(Initial Public Offering)와 공모 청약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장 과정은 상장 요건 충족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이 있음에도 기업들이 상장하려는 이유는 사업에 필요에 대규모 자금 조달과 상장 회사라는 기업 홍보 효과 때문이다. 우회상장(Back Door Listing) 주식 시장에 상장하고 싶어 하는 기업은 많은데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는 어렵다. 기업이 어느 정도 자금력이 되는데 복잡한 상장 심사 없이 빠르게 상장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 우회상장이다. 우회상장은 비상장기업이 상장기업을 인수합병(M&A) 하는 방법으로 주식 시장에 진입하는데 상장 심사, 공모주 청약 등 과정을 거치지 않..
주식 액면분할과 액면병합(주식 수량과 가격 변경) 주식 액면가 주식의 가격은 두 개가 있다. 하나는 액면가이고, 다른 하나는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가이다. 액면가는 주식을 발행했을 때 주식의 표면에 붙어있는 가격으로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000원, 2,500원, 5,000원 중 결정되며, 액면가에 따라 발행하는 주식 수량이 결정된다. 1억 원의 자본금으로 회사를 설립했을 경우 1주당 액면가가 500원이라면 100,000,000원 / 500원 = 200,000주가 총 발행주식 수가 되는 것이다. 주식 액면분할 액면분할은 주식의 액면가를 낮춰서 주식의 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에 액면가 500원 주식 1주를 액면가 100원으로 액면을 분할하면 주식의 수는 5주로 늘어난다. 액면분할하기 전과 이후가 달라지는 것은 없으나..
크루드 오일 선물(Crude Oil Futures)과 거래 가격 크루드 오일 선물(Crude Oil Futures) 크루드 오일 선물은 서부 텍사스산 중질류(West Texas Intermediate)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선물 상품이다. 해외선물을 거래하는 국내 투자자라면 미니 나스닥 100 선물, 금 선물과 더불어 크루드 오일 선물은 중요한 거래 상품으로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상장되어 있다. 선물 거래 단위와 가격 오일은 1배럴(158.9리터)을 기준으로 거래를 하며 크루드 오일 선물의 1계약은 1,000 배럴을 기준으로 한다. 선물 가격의 최소 가격 변동 단위를 '틱'이라고 하는데 크루드 오일의 틱은 0.01이며 선물 1계약이 1,000배럴이기에 0.01 x 1000 = 10 즉, 1틱당 10달러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크루드 오일 ..
미국 나스닥 실시간 선물지수 와 나스닥 선물(NASDAQ 100 선물) 나스닥(NASDAQ) 100 나스닥은 장외거래시장(Over-The-Counter Market)이 발전되어 온 것으로 뉴욕증권거래소(NYSE)보다 등록 요건이 까다롭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기업들이 등록되어 있다. 테슬라, 애플 같은 글로벌 기업도 나스닥에 소속되어 있으며, 코스닥도 나스닥에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졌다. 나스닥은 규모가 크고 거래도 활발한 기업들이 모여있는 NNM(Nasdaq Nationl Market)과 소규모 기업들이 모여있는 나스닥 SCM(SmallCap Market)으로 나뉘는데 우리가 궁금해하는 나스닥 100은 나스닥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서 나스닥에 등록되어 있는 수천 개의 기업 중 금융권을 제외한 가장 규모가 큰 기업 100개를 선정하여 시가총액을 가중평균으로 만든 ..